지식백과사전의 블로그

[ 현상 ] - 월식 본문

카테고리 없음

[ 현상 ] - 월식

지식백과사전님 2022. 11. 8. 19:02

안녕하세요 지식백과사전입니다 오늘은 현상 월식 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조건
지구가 태양 주변을 공전하고 있고, 달이 지구 주변을 공전하고 있기 때문에 종종 태양 - 지구 - 달 형태로 배열이 되는 보름날에는 달이 지구 그림자에 가려지는 월식(달이 먹힘)현상이 관측된다. 하지만 달이 공전하는 궤도가 지구가 공전하는 궤도보다 5도 정도 삐딱하게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항상 월식이 관측되는 것은 아니다.

태양이 아주 크고 지구가 작기 때문에 지구 그림자에는 본영과 반영이 존재하게 되는데, 본영에 달이 들어가는 경우에는 개기 월식 또는 부분 월식이 발생하고 반영을 지나가게 될 때는 반영월식이 발생한다. 일식의 경우에는 특정한 지역에서만 관측할 수 있지만, 개기 월식의 경우에는 지구의 그림자에 의해 달이 가려지는 것을 보는 것이기 때문에, 개기 월식이 일어나는 때 밤인 모든 지역에서 볼 수 있다. 게다가 지속시간은 1시간 40분 정도로 상당히 긴 시간동안 관찰할 수 있기에 일식보다는 훨씬 더 자주 볼 수 있다.

궤도의 특성상 일식이 발생한 후 월식이 발생하거나, 월식이 발생한 후에 일식이 발생하는 형태로 서로 연관성이 있다.

월식은 일식과 달리 위성을 가진 태양계 천체라면 어느 천체에서나 볼 수 있는 현상이다. 물론 천왕성 같이 위성의 공전 궤도가 황도면에 대하여 수직이거나 수직에 가까운 천체 등에서는 특정한 시간이 아니면 보기 힘들다



[2] 종류
월식은 크게 몇 가지로 구분된다.
개기 월식 (Total lunar eclipse): 달이 지구 본그림자에 완전히 들어가는 현상이다. 이때 달은 지구에서 보았을 때 완전히 보이지 않는 상태가 아니라 검붉게 빛난다. 왜 붉은 빛을 띠는지는 후술.
부분 월식 (Partial lunar eclipse): 달이 지구 본그림자에 일부만 들어가는 현상이다. 이때 달은 본래 보름달이어야 할 모양이 아닌 상태로 보이게 된다. 즉 보름달 모양으로 있어야 하는데 반달같은 모양으로 볼 수 있는 것이다.
반영식 (Penumbral lunar eclipse): 달이 지구 반그림자를 지나가는 현상이다.''' 이때는 달의 밝기가 약간 어두워지는 것뿐, 달의 모양은 거의 그대로이다.
반영 개기식 (Total penumbral lunar eclipse): 가장 희귀한 월식으로, 달이 지구 반그림자에 완전히 들어가는 현상이다. 지구 반그림자의 간격이 본그림자보다 좁기 때문에, 이런 형태의 월식이 발생하기는 매우 어렵다. 가장 최근의 반영 개기식으로는 2006년 3월 경에 있었다. 다음 반영 개기식은 2053년 8월 경에 있다.




[3] 여담
콘스탄티노폴리스에는 달이 차있는 동안 절대로 함락되지 않는다는 전설이 있었다. 1453년 제20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방전 당시에도 이 전설을 많은 이들이 믿고 있었는데, 정작 보름달이 뜨는 날 개기 월식이 일어났다. 당연히 병사들의 사기는 바닥을 치게 되었고, 수도가 함락되면서 2000년을 이어온 동로마 제국은 결국 오스만 제국에게 멸망하고 말았다.

정월 대보름이나 추석 같은 보름달과 관련 있는 날에 월식이 생기면 한국에서 그야말로 여러 의미로 주목을 받게 된다.

약 200년 만에 일어나는 슈퍼 블루 블러드문이 존재한다. 슈퍼문 + 블루 문 + 블러드문. 2018년 1월 31일에 블루문, 슈퍼문까지 합쳐진 희귀한 달이 떴다.

2018년 7월 28일에 만월 + 블러드 문 + 초근접 화성을 볼 수 있었다. 이런 경우는 흔하지 않다


지금까지 현상 월식 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긴글 읽어주신 여러분께 감사드립니다
저는 다음에 또 뵙겠습니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