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백과사전의 블로그

[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쉽 ] - 리그 오브 레전드 2020 월드 챔피언십/선발전 본문

카테고리 없음

[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쉽 ] - 리그 오브 레전드 2020 월드 챔피언십/선발전

지식백과사전님 2020. 9. 10. 00:46

안녕하세요. 지식백과사전입니다. 오늘은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쉽 '리그 오브 레전드 2020 월드 챔피언십 / 선발전 ' 에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개요

리그 오브 레전드 2020 월드 챔피언십에 참가할 팀을 선발하는 경기들을 모아놓은 문서이다

 

 

[2] 개편

4대 리그[1]중 LEC와 LCS는 서머 플레이오프가 롤드컵 선발전을 겸하는 것으로 변경되면서 롤드컵 선발전을 따로 진행하지 않는다.

  • LCS: 챔피언십 포인트를 스프링과 서머에 따로 지급하지 않으며 서머 플레이오프 성적 상위 3팀[2]이 롤드컵에 진출한다.[3]

  • LEC: 서머 정규 시즌 성적 상위 6개 팀이 서머 플레이오프에 진출, 이후 스프링 플레이오프와 서머 정규 시즌 성적을 기준으로 부여한 챔피언십 포인트로 서머 플레이오프 시드를 결정한 뒤, 서머 플레이오프 성적 상위 4팀(우승, 준우승, 패자 결승 탈락팀, 패자전 3라운드 패배팀)이 롤드컵에 진출한다.


그리고 작년까지 선발전이 있었던 LMSPCS로 통합되면서 사라지게 되었다. MSI 이후 2장 받는 것으로 발표가 났지만, 이미 포맷은 다 짜놓은 상황이라 LMS가 2장 받던 시절대로 진행하지 않고 그냥 서머 플옵 순위로 결정한 것으로 보인다.

<img class='wiki-image' width='100%' src='//w.namu.la/s/7ff987a6c6314a8d2cf8bb428db15379ebc58dbbf0eb65f4ff98c7570845aca092a9928fd93ee99c42a3dd714dcb44ade18b51eafc9a22efd2af222a47b84627d1ea1cc95d7237c91815a3baab737d5bf238f14838e5b2ee9b737fe638619e66' alt='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_white.pn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리그 오브 레전드 2020 월드 챔피언십 문서의 r83

, 2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3] 한국 LCK

LCK는 3장의 출전권을 다음 방식에 따라 부여한다.

  • 1번 시드: 서머 시즌의 종합 우승 팀(직행)

  • 2번 시드: 남은 팀 가운데 챔피언십 포인트를 가장 많이 획득한 팀(동률일 경우 서머 시즌 성적에 따름)

  • 3번 시드: 남은 팀 가운데 챔피언십 포인트를 가장 많이 획득한 네 팀(동률일 경우 서머 시즌 성적에 따름)을 대상으로 한 선발전의 최종전 승리팀


챔피언십 포인트는 스프링/서머 시즌별로 포스트시즌에 진출하는 5팀에게 아래와 같이 지급하며, 출전권 지급 방식 및 최종 포인트 순위는 다음과 같다.

 

LCK Spring

LCK Summer

우승

<img class='wiki-image' height='100%' src='//w.namu.la/s/87e7906c7bdd5bfa335fd02b1ea310b11c78c3458ac0ed9ef25506f0618b935e900b6372d79e8873cb931065c3b3a6dcafacf29c92b6637440b045d1d6e7923e789cabfb99ebe7622f0125d69a3596cc3a6e3541e01056612e7d6fbd0a836082' alt='파일:t1logonew.png'>

T1

90점

<img class='wiki-image' height='100%' src='//ww.namu.la/s/09c5d507ef706d50e534e45eb1139a64221db0ddc608a37dbcd04bb9f91aaff49846899624f4eeae19d8b9e09d9e4e2c708d0e79174845eceed633a62f39fc1d52652d1192e22d9591c5a20a474f20e273862fce865d3fd149eb92a9f9abc405' alt='파일:DAMWON.png'>

DWG

1번 출전권 획득

준우승

<img class='wiki-image' height='100%' src='//w.namu.la/s/a378877931aa513901e7b669538ebeae9c3c87f5794d5fb5e21ff33ca347d9f19d8a58cc598a661c1d1d63720bc1817a55be5d486c9e6f4667b455fd59cf82a56a4e797b6388cc8ded44b853c6b65e92c6e472ec558eb273a160d5c8b44d256f' alt='파일:GenG_only_logo.png'>

GEN

70점

<img class='wiki-image' height='100%' src='//w.namu.la/s/3650a388b870f7dc3120169e8f4eadc7f33271ec2a972d2eeefc437bdced3bd0147d9a66879e9ddfdfc68ebc032ee35ff3addaa95e0ca0b18e520fabd43d486881a56a055b129cdd5ca136b9b81c271ac4920d0ac1a8222dd601fa271265fb78' alt='파일:DragonX_no_text.png'>

DRX

90점

3위

<img class='wiki-image' height='100%' src='//w.namu.la/s/3650a388b870f7dc3120169e8f4eadc7f33271ec2a972d2eeefc437bdced3bd0147d9a66879e9ddfdfc68ebc032ee35ff3addaa95e0ca0b18e520fabd43d486881a56a055b129cdd5ca136b9b81c271ac4920d0ac1a8222dd601fa271265fb78' alt='파일:DragonX_no_text.png'>

DRX

50점

<img class='wiki-image' height='100%' src='//w.namu.la/s/a378877931aa513901e7b669538ebeae9c3c87f5794d5fb5e21ff33ca347d9f19d8a58cc598a661c1d1d63720bc1817a55be5d486c9e6f4667b455fd59cf82a56a4e797b6388cc8ded44b853c6b65e92c6e472ec558eb273a160d5c8b44d256f' alt='파일:GenG_only_logo.png'>

GEN

70점

4위

<img class='wiki-image' height='100%' src='//ww.namu.la/s/09c5d507ef706d50e534e45eb1139a64221db0ddc608a37dbcd04bb9f91aaff49846899624f4eeae19d8b9e09d9e4e2c708d0e79174845eceed633a62f39fc1d52652d1192e22d9591c5a20a474f20e273862fce865d3fd149eb92a9f9abc405' alt='파일:DAMWON.png'>

DWG

30점

<img class='wiki-image' height='100%' src='//ww.namu.la/s/a21f6a0e155ba44884e1418979af93af78fec1a93bd428a416cb8d07242ee0ba92d46c8f7c65d9c336f81d5369496b2c3b36ec13e3589da6cc19b8b8b0bc9edec6b39d09f353963634b22487e173c92bbe9d63615c6e3e492c49a0c3711bf5dd' alt='파일:external/hydra-media.cursecdn.com/Afreeca_Freecs.png'>

AF

40점

5위

<img class='wiki-image' height='100%' src='//ww.namu.la/s/f2fe832ba54fdcf26cf52f19f8731ac7f51a23a9e2ff120a766aa2cdf86a11bb7857a2337535c3d7f2fee4dd26d562c8d0f35b1980244f93adfc83e5ac421724dd6331d3dae74244f98e96353130b84d9d1e63d80bacecf09c1261cec24365a2' alt='파일:KTRolsterLogo.png'>

KT

10점

<img class='wiki-image' height='100%' src='//w.namu.la/s/87e7906c7bdd5bfa335fd02b1ea310b11c78c3458ac0ed9ef25506f0618b935e900b6372d79e8873cb931065c3b3a6dcafacf29c92b6637440b045d1d6e7923e789cabfb99ebe7622f0125d69a3596cc3a6e3541e01056612e7d6fbd0a836082' alt='파일:t1logonew.png'>

T1

20점

종합

포인트 순위

챔피언십 포인트

결과

1위

<img class='wiki-image' height='100%' src='//w.namu.la/s/3650a388b870f7dc3120169e8f4eadc7f33271ec2a972d2eeefc437bdced3bd0147d9a66879e9ddfdfc68ebc032ee35ff3addaa95e0ca0b18e520fabd43d486881a56a055b129cdd5ca136b9b81c271ac4920d0ac1a8222dd601fa271265fb78' alt='파일:DragonX_no_text.png'>

DRX

140점[S]

2번 출전권 획득

2위

<img class='wiki-image' height='100%' src='//w.namu.la/s/a378877931aa513901e7b669538ebeae9c3c87f5794d5fb5e21ff33ca347d9f19d8a58cc598a661c1d1d63720bc1817a55be5d486c9e6f4667b455fd59cf82a56a4e797b6388cc8ded44b853c6b65e92c6e472ec558eb273a160d5c8b44d256f' alt='파일:GenG_only_logo.png'>

GEN

140점[S]

선발전

3번 출전권 획득

3위

<img class='wiki-image' height='100%' src='//w.namu.la/s/87e7906c7bdd5bfa335fd02b1ea310b11c78c3458ac0ed9ef25506f0618b935e900b6372d79e8873cb931065c3b3a6dcafacf29c92b6637440b045d1d6e7923e789cabfb99ebe7622f0125d69a3596cc3a6e3541e01056612e7d6fbd0a836082' alt='파일:t1logonew.png'>

T1

110점

최종전 탈락

4위

<img class='wiki-image' height='100%' src='//ww.namu.la/s/a21f6a0e155ba44884e1418979af93af78fec1a93bd428a416cb8d07242ee0ba92d46c8f7c65d9c336f81d5369496b2c3b36ec13e3589da6cc19b8b8b0bc9edec6b39d09f353963634b22487e173c92bbe9d63615c6e3e492c49a0c3711bf5dd' alt='파일:external/hydra-media.cursecdn.com/Afreeca_Freecs.png'>

AF

40점

2라운드 탈락

5위

<img class='wiki-image' height='100%' src='//ww.namu.la/s/f2fe832ba54fdcf26cf52f19f8731ac7f51a23a9e2ff120a766aa2cdf86a11bb7857a2337535c3d7f2fee4dd26d562c8d0f35b1980244f93adfc83e5ac421724dd6331d3dae74244f98e96353130b84d9d1e63d80bacecf09c1261cec24365a2' alt='파일:KTRolsterLogo.png'>

KT

10점

1라운드 탈락



직행이 확정된 팀은 다음과 같다.

  • DWG : LCK 서머 시즌을 우승해 1번 시드로 롤드컵에 진출하였다.

  • DRX : LCK 스프링 시즌 3위, 서머 시즌 준우승으로 140점을 확보하며 2번 시드로 롤드컵에 진출하였다.

  • GEN : LCK 스프링 시즌 준우승, 서머 시즌 3위로 140점을 확보했으나 서머 시즌 포인트에서 DRX에 밀려 선발전에 진출했고, T1과의 최종전에서 3:0으로 이기며 3번 시드로 롤드컵에 진출하였다.

5.1. 선발전

 

 

 

[4] 선발전

선발전은 롤드컵 조별리그에 참가하는 LCK 3시드를 선발하게 된다. 이전에는 보통 하루 텀을 두고 5일(월-수-금)에 걸쳐 진행했지만, 이번에는 휴식 없이 3일(월-화-수)간 진행하게 되어 하위 라운드부터 시작하는 팀들은 그 어느 때보다도 가혹한 일정을 보내게 될 전망이다.

이와 관련하여 차라리 LCK 일정을 당기는 것이 낫지 않나 하는 팬들의 불만이 있었고, 여기에 강동훈 kt 감독의 해명이 오인되어 라코 측에서 일방적으로 일정 유지를 결정했다고 퍼지면서 라코를 성토하는 분위기가 한때 지배적이었으나, 강동훈 감독이 재해명을 하고, 라코 측에서도 입장을 내어 분위기가 어느 정도 진정되었으나, 빡빡한 일정 자체에 대한 불만은 여전히 존재하고 있었다.

하지만 9월 1일자 발표로 VCS가 월드 챔피언십 불참을 선언하며[6] 롤드컵 진출팀을 22개로 조정하는 대신, 플레이 인 스테이지 팀의 수를 짝수로 맞추기 위해 플레이-인 스테이지 경쟁팀이 존재하는 리그 중 '지난 2년 동안의 국제전 성적'이 가장 좋은 LCK의 3시드 팀을 그룹 스테이지로 올리게 되어[7] 결과적으로 선발전 종료 후 일정 문제만큼은 나름대로 해소되었다. 플레이-인 스테이지는 9월 25일에 개막하지만, 그룹 스테이지는 10월 3일에 개막하는지라 약 1주일 정도의 여유가 생겼기 때문이다.

이후 라이엇 코리아가 팀들의 출국일정을 공개하였다. 1번 시드인 담원은 9월 11일, 2번 시드인 DRX와 3번 시드인 젠지는 9월 18일로 잡았다고한다. 코로나의 영향으로 상하이의 항공편이 주1회로 줄어들었고, 좌석조차 거리두기의 영향으로 매우 줄어서 어쩔 수 없는 상황이었다고. 여기에 기흉 수술을 받아 9월 13일쯤 퇴원 예정인 담원의 탑 라이너 너구리는 2,3번 시드팀과 같이 18일에 출국 예정이라고 한다.

경기

일정

1라운드

2020. 09. 07

2라운드

2020. 09. 08

최종 진출전

2020. 09. 09


선발전 1라운드가 있는 9월 7일, 라이엇 게임즈 본사에서 Global event에 대한 인터넷 방송인들의 개인방송을 통한 같이 보기(Co-streaming)을 금지한 것이 알려지며 적지 않은 유저들의 불만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게다가 트위치는 9월 7일 1라운드 경기부터 정상적으로 송출 금지가 이루어졌으나 아프리카tv 측에는 공지가 늦게 이루어지고, 혼선까지 있었던 탓에 1라운드에 한해 중계를 허락해주는 형평성의 문제가 발생하기도 하였다.

 

 

 

 

[5] 총평

서로 할 만하다는 사전 예상이 무색하게 두 팀 간의 실력 차이는 극명했다. 뚜껑을 열고 보니 이틀 전 결승전을 방불케 할 정도의 일방적인 결과가 나와버렸고, 사전 예상부터 한쪽으로 쏠려 있었던 결승전과 달리 언뜻 예상하기엔 그리 큰 격차는 없을 듯 보였던[8] 대결이었기에 더 충격이 컸던 결과라 할 수 있다.

아프리카는 강팀 판독기 기믹을 되살린 듯 KT를 완벽하게 압살하며 도장깨기 1단계를 클리어했다. 완벽하게 가다듬어졌다는 느낌은 아니었으나, 믿을맨들이 오랜만에 제 몫을 하며 기대감을 높였다. 반면 KT는 1세트에서 다소 무기력하게 엎어진 것을 시작으로 전 라인에서 체급 차이를 드러내며 완패했다.

아프리카 입장에서는 지난 플옵 2라운드의 완패 분위기를 청산할 만큼의 기분 좋은 완승을 따낸 셈인데, 완벽했다 말하기엔 조금 모자람이 있었다 쳐도 서서히 부진에서 깨어나 좋은 활약을 이어간 기인이 오랜만에 기인 열전을 선보이는 등 전성기 때의 엄청났던 포스를 뿜어냈으며 스피릿 역시 절정에 달한 듯한 릴리아 숙련도를 보여주면서 완승을 이끄는 주역이 되었기에 의미 깊은 승리였다고 말할 수 있겠다.

무엇보다도 오늘 경기의 수훈갑은 짝수 서머의 플라이. 서머 정규시즌 말과 포스트시즌에서의 폼은 일시적인 것이 아니었다는듯 녹슬지 않은 피지컬을 보여주며 탑, 미드 라인을 가리지 않고 온종일 활약했다. 특히 2세트에서의 변칙 탑 AP 그라가스는 그라가스 자체가 최근 리그에서 사장된 픽임을 감안할 때 이후 있을 2라운드 밴픽에서도 적지 않은 변수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KT는 2라운드에서 아프리카를 상대로 분전했던 경기력은 어디로 갔는지 믿을맨이라 불리던 에이밍조차 침묵한 채 무력하게 쓸려나갔다. 괴력의 연승으로 플레이오프까지 진출했던 스프링의 영광은 빛바랜 추억이 되었고 2020년 농사는 비록 팀 인프라 구축 측면에서는 성과를 보았지만 끝은 좋지 않은 찝찝한 결말을 냈다.

2020년 전체를 돌이켜 보았을 때 KT가 아무런 소득도 얻지 못했다고 평할 수는 없다. 당장 2019년은 강등권이었고 스토브리그 때만 해도 이번 시즌 예상은 그와 크게 다르지 않았다. 강동훈 감독을 위시로 한 KT의 비전은 프랜차이즈 세대를 대비한 유스팜의 구축이었고, 팬들이 이번 시즌에 기대했던 것은 최소한 그 세대의 징검다리 역할이었다. 비록 한 때 폼이 다 죽었다고 평가받았던 노장들이었다고는 하나 KT의 총 성적은 스프링 5위, 서머 6위로 절망적이라고만 판단할 수는 없다.

하지만 올해 KT에서는 신인 등용이나 연습생 콜업이 이루어지지 않았다.[9] 리그 최상급 바텀이었던 에이밍은 논외로 하고, KT의 이번 시즌 선택은 스멥/보노/쿠로/투신이라는 잔뼈 굵은 노장들과 못해도 리그 중견급 선수라 할 수 있는 소환/말랑/유칼이었다. 이 로스터의 의의는 노장들로부터 운영과 호흡을 전수받은 중견 세대가 리그 경험을 쌓고 이후에 올라오게 될 강동훈 사단의 새 육성군 선수들이 성장하기 위한 주춧돌로 기능하는 것이다.

그렇기에 조금 더 냉철하게 KT의 올 시즌 패배 분석은 과연 그 징검다리 공사가 제대로 진행 중인가 하는 문제로 귀결된다. 그 관점에서 올 시즌 KT의 플랜은 성적보다도 더 비관적인 평가를 내릴 수밖에 없는 것이 진짜 문제다. 소환은 기껏해야 재발견에 불과했으며 그마저도 서머에는 스멥에게 주전이 밀렸고 말랑은 기복도 심한데 고점이 그리 높지 않다는 문제가 여지없이 드러났다.[10] 한 때 쵸비-쇼메이커와 함께 거론되며 LCK 새 미드의 지평을 열 초신성이라고까지 평가받았던 유칼은 공격성과 예리함 모두를 잃어버리고 2년째 방황 중이다. 심지어 가장 큰 구멍으로 전락한 투신이 있는 서포터는 아예 서브조차 없었다. 그리고 그 결과가 서머 시즌 PS 진출 실패와 선발전 0:3 완패로 드러났을 뿐이다.

징검다리 세대는 성과를 못 보여줬고, 결국 노쇠화된 선수들이 출전했어야 한 경기는 처참했다. 다른 것도 아니고 올해 마지막 경기가 될 수 있기에 아낌없이 쏟아부어야 할 선발전에서 최선의 대안으로 나온 것이 이번 경기의 조합이었다. 밴픽도 논란이 있는 2세트를 제외하고는 나쁘다고만은 할 수 없었지만, 더 중요하다 할 수 있었던 라인전과 교전 능력에서 아프리카보다 몇 수는 아래였고 주전 선수들의 역량이 받쳐주지 못해 결국 패배했다. 아프리카의 주전 라인업인 스피릿/플라이/미스틱/벤 또한 노장 축에 들어선 선수들인 것이 아이러니할 뿐이다. T1, 젠지, DRX 등 상위권 팀이 주전 또는 서브로 연습생들을 콜업해 성과를 보이고 있는 상황에서 오정손 체제에서 아무런 육성 시스템을 대비하지 못했던 KT는 이번 시즌 톡톡히 그 대가를 치르고 있는 중이다.

다만 선발전 종료 후 강동훈 감독의 방송을 통해 서머 시즌 내내 KT 선수들의 몸 상태가 과히 좋지 못했다는 소식이 전해져 약간의 동정표 정도는 받을 수 있게 되었다.[11] 그러나 해당 방송에서 강동훈 감독이 스스로도 언급했듯이 건강 관리 역시 프로의 소양이며 선수들 케어 역시 감코진이 해야 하는 만큼 변명의 여지 없이 KT의 이번 시즌은 실패로 마무리하게 되었다고 볼 수 있다.

 

 

 

 

 

지금까지 롤드컵 선발전인 ' 리그오브레전드 2020 월드 챔피언십 선발전 ' 에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긴글 읽어주신 여러분께 감사드립니다. 저는 다음에 또 뵙겠습니다.

 

Comments